타임아웃 설정
실습을 하다보면 타임아웃으로 세션이 만료돼서 불편한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그래서 타임아웃을 설정하여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한다.
# 타임아웃 수정
vi /etc/keystone/keystone.conf
// 다음 부분 찾아서 수정
expiration=43200
//
vi /etc/openstack-dashboard/local_settings
// 다음 부분 찾아서 수정
SESSION_TIMEOUT = 43200
//
# http 재기동
systemctl restart httpd


이렇게 하면 이제 로그아웃이 되는 번거로운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Object Storage (Swift)
컨테이너
여기서 컨테이너는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최상위 폴더'느낌이라 생각하면 된다.
그러므로, 서버에 업로드할 파일들을 이 곳에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wget을 이용해 다운도 가능)














이 처럼, 퍼블릭이면 공개가 되어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반대로 체크를 하제하여 프라이빗이 되면 나 자신만 볼 수 있다.
Orchestration (Heat)
템플릿 생성기
탬플릿은 구성요소를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 정해놓은 스크립트이다.
지금 VM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참고로 필자의 경우 크롬에선 안돼서 파이어폭스로 변경했다.










이번엔 다운로드 받은 스크립트를 응용하여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해보자.






이제 생성된 인스턴스에 불륨을 연결시켜주자.



# 전에 했던 불륨과 비슷한데, 데이터를 살리기 위해 포멧 부분은 생략하고 마운트
sudo mount /dev/vdb /mnt/
df -h
# 여기서 test.txt가 보여야 정상적으로 된 것이다.
ls /mnt

기타 관리
인스턴스 삭제


Flavor 생성
메모리, 용량 들을 의미하는 Flavor는 우리가 직접 생성 할 수도 있다.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 > 실무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 스택 - WebServer, DB Server 설치 및 CLI로 오픈스택 다루기 (0) | 2023.04.06 |
---|---|
오픈 스택 - 구성 요소(서비스) (0) | 2023.04.06 |
오픈 스택 - VMware에 오픈스택 설치 및 네트워크 및 보안 구성 (0) | 2023.04.05 |
오픈 스택 - 설명 및 Virtual Box에 설치 (0) | 2023.04.05 |
ESXi - MariaDB, HAProxy 설치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