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스트럭처란?
보통 '인프라'라고 많이들 쓴다. 인프라는 '컴퓨터'와 '사용자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뜻하기도 하며 (ex. 전화회선, 케이블 TV회선 등), 신호를 보내고 받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ex. 웹 서버, 콘텐츠 관리 시스템, Linux와 같은 OS)를 뜻하기도 한다.

IT 인프라의 구성 요소
하드웨어
서버, 데이터센터, 개인용 PC, 라우터, 스위치, 기타 장비가 해당됨. 그리고, 데이터 센터를 관리하는 시설 또한 인프라로 취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웹 서버, 콘텐츠 관리 시스템, Linux와 같은 OS 등 기업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
네트워킹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 운영, 관리, 내부 및 외부 시스템 간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 연결, 네트워크 활성화, 방화벽 및 보안을 비로해 라우터, 스위치, 케이블 같은 하드웨어로 구성 된다.
IT 인프라의 유형
전통적인 인프라
전통전인 인프라의 경우는 데이터센터, 데이터 스토리지(구글 드라이브 같은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비롯한 구성 요소 모두를 기업의 자체 시설에서 소유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를 On - Premise (온 프레미스)라고 부른다.
초기 비용이 들기에, 비용이 많이 들고, 공간이 필요하고 직접 관리해야한다. 그래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밀려 완전히 사라질 줄 알았으나, 보안적인 측면과 이외의 상황(오히려 비용 증가)등의 이유로 다시 온-프레미스로 회귀하는 경우도 있다.
- On - Premise (온 프레미스) : '구내에서 켜져있다'라는 의미 그대로, 회사의 전산실 내부에 라우터, 스위치 같은 각종 IT 장비들이 전원이 켜진채로 있다는 것.
- Off - Premise (온 프레미스) : '구내에서 꺼져있다'라는 의미 그대로, 회사에 직접 전원을 키고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외부에서 IT 장비를 둔 것을 의미한다. (클라우드가 이에 해당한다)
클라우드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에 필요한 구성 요소와 리소스를 뜻한다. 전용 리소스를 사용해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거나 대표적인 CSP(Cloud Service Provider)인 Alibaba, Amazon, Google, IBM, Microsoft 등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대여해 퍼블릭(Public)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여러 클라우드 끼리 연결하여 멀티 클라우드를 구성하거나,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도 있다.

Infrastructure : 클라우드의 Core - Infra(핵심) 이다.
- Compute : CPU, 메모리
- Block Storage : SSD(메모리 방식), HDD(물리적 방식)
- Network : IP
- Public IP : 공인
- Private IP : 사설
나머지 Platform 과 Application은 선택적인 서비스이다.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 HCI )
가상화에 기반을 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가상화를 통해 분산되어 있던 하드웨어들을 하나로 묶으므로,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컴퓨팅, 네트워크, 데이터 스토리지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하드웨어 각각의 자투리 공간들을 모아 하나로 묶는 것을 Pool (공유)이라 한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레거시 인프라는 표준 서버에서 실행되는 플랫폼으로 대체된다.(효율적으로)

인프라스트럭처 토폴로지
여기서, IP를 가지고 통신하는 모든 기기들을 노드라고 한다.(ex, 프린터, 스위치, 서버 등등)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 > 실무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 체제(OS) + Linux (0) | 2023.02.23 |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