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비용을 지불하고 컴퓨팅 리소스(CPU, RAM,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공유 풀에 어디서나 편리하게 필요한 시점에 네트워크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모델이다.
즉, Off-Premise 이며, 이로 인해 인터넷이 없으면 접근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현재 인프라가 잘 구성되어 있으므로 크게 부각되진 않는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불특정 다수(누구나)가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이다.
공급자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소유하고 관리하고, 사용자는 접속하여 리소스를 대여하기만 하면 된다. 대표적인 CSP(Colud Service Provider) 예시로 AWS, Microsoft Azure, GCP 등이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이점
- 비용 절감 -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초기 비용 X, 사용한 서비스의 요금만 지불. 원하는 경우 회수 가능 (단, 설계를 잘 해야하며, 그렇지 못하면 비용이 오히려 더 증가할 수 있다.)
- 유지 관리 불필요 - 서비스 공급자가 유지 관리를 제공한다.
- 무제한에 가까운 스케일링 성능 - Off-premise이므로,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무제한에 가까운 리소스를 원하는 만큼 계속 추가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 높은 안정성 - 광대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실패 방지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퍼블릭과 달리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으며, 단일 비즈니스 또는 조직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로 구성된다.
프라이빗 클라우든느 실제로 조직의 현장 데이터 센터에 있거나 타사 서비스 공급자가 호스팅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와 인프라가 항상 프라이빗 네트워크에서 유지 관리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조직에서만 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스케일링은 가능하나, 퍼블릭과 다르게 무한한 리소스가 없으므로 무한정한 스케일링이 불가능 하다(On-premise 처럼 비용 발생).
그래도 환경에 대한 제어 기능을 강화하려는 비즈니스에 중요한 작업이 있는 중견 조직과 대규모 조직 외에도 정부 기관과 금융 기관 및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이점
- 유연성 향상 - 조직에서 특정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자 지정하거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 가상화를 통해 서비스 중에도 가능)
- 제어 향상 - 리소스가 다른 사용자와 공유되지 않으므로 더 높은 수준의 제어 및 개인 정보 보호 가능
- 스케일링 성능 향상 - 온-프레미스와 비교해서 더 좋은 스케일링 성능을 보임 (단, 퍼블릭 보다는 떨어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연동한 클라우드.
타사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 전체에 엑세스하지 않고도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퍼블릭 클라우드로 원할하게 스케일 업하여 오버플로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기업에 제공한다.
프라이빗의 매우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보안 유지라는 장점을 가지면서, 특정 워크로드를 실행하여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유연성과 혁신을 이용할 수 있다.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연동할 때, VPN(Virtual Private Network)로 연결한다. (도청 스니핑을 막기 위해 암호화, 터널링 등을 한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이점
- 제어 - 조직이 짧은 대기 시간이 필요한 중요 자산이나 워크로드(작업량)을 위한 프라이빗 인프라를 유지 관리할 수 있다.
- 유연성 - 필요할 때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추가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다. (오토 스케일링)
- 비용 효율성 - 퍼블릭 클라우드로 스케일링하는 기능(무조건 늘리는 것만이 아닌 절감도 포함)을 통해 필요할 때만 추가 컴퓨팅 성능의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 용이성 - 시간을 두고 점차 워크로드를 단계별로 수행하여 점진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하나씩 퍼블릭으로 변경) 할 수 있으므로 부담 없이 클라우드로 전환할 수 있다.

멀티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는 이름 그대로 여러개의 클라우드가 연동된 것이다. 퍼블릭 클라우드 끼리만 연동한 것도 멀티 클라우드 이며, 하나의 프라이빗과 하나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가 연결된 것도 멀티 클라우드이다.(이 경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이기도 하다.)
이러한 멀티 클라우드를 관리하는 도구로는 다음이 있다.
- 'Bespin'의 OpsNow
- '메가존'의 Space One
이러한 멀티 클라우드는 하나의 퍼블릭 클라우드가 다운되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종류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주문형과 종량제 방식으로 필수적인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리소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유형으로 대표적인 예시로 '아마존이 블랙프라이데이때, 다른 사이트에 인프라를 대여하는 것'과 다음이 있다.
- EC2 : PHP, JSP 등 웹서버 위주
- S3 : 아마존이 사용한 쇼핑물을 위한 IMG 전용 스토리지(고해상도 이미지를 따로 저장)
조직의 인프라를 IaaS 솔루션으로 마이그레이션하면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자사의 데이터 센터)의 유지 관리를 줄일 수 있고 하드웨어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요에 맞게 스케일링 업/다운을 할수 있으며, 새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프로비저닝하고 기본 인프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공급자가 인프라를 관리하며, 사용자는 자체 소프트웨어(운영 체제,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등)를 구매, 설치, 구성, 관리한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IaaS에서 다 나아가, 인프라 뿐만 아니라 플랫폼까지 개발자들을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 즉, 클라우드에서 리소스를 포함해서 제공되는 완전한 개발 및 배포 환경이다. (IaaS처럼 서버 저장소, 네트워킹 등의 인프라뿐만 아니라 미들웨어, 개발 도구,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도 포함한다.)
PaaS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기본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및 미들웨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예: Kubernetes) 또는 개발 도구와 기타 리소스를 구입하고 관리하는 비용과 복잡성이 없어진다.
사용자는 종량제 방식으로 필요한 리소스를 구매하고 보안 인터넷 연결을 통해 해당 리소스에 액세스하면 된다. 그리고 개발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관리하기만 하면 된다.
공급자는 그 밖의 모든 항목을 관리한다.
예시로, 아마존의 'Bean`s talk' 가 있다. Bean`s talk는 워드프레스라 하는 소스코드를 압축한 파일을 업로드 시키면, Bean`s talk가 이를 분석해서 필요한 웹서버(apachi, Tomcat 등), DB등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또한, 오토 스케일링(가용성)과 자동 조정, 자동 백업도 제공한다.
이 처럼, 관리자(Operator)가 할 일을 대신 해주므로, NoOps라고 관리자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렇진 않았다.
SaaS(Service as a Service)
PaaS에서 더 나아가, 모든 것을 다 제공하여 사용자는 아무런 설치 없이 구독료만 지불하면 완제품을 바로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ex. ERP, 메일, 일정 및 Microsoft 365 같은 Office 도구들)
일반적으로 웹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앱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모든 기본 인프라, 미들웨어, 앱 소프트웨어 및 앱 데이터는 서비스 공급자의 데이터 센터에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적절한 서비스 계약을 통해 앱과 데이터의 가용성과 보안도 보장한다.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는 조직은 최소의 사전 투자 비용으로 빠르게 앱을 실행 중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 > 실무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 체제(OS) + Linux (0) | 2023.02.23 |
---|---|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