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실무 심화

가상화 - ESXi 설치 및 실습 환경 준비

현재 타입1의 bare-metal을 구하기 힘들다. 그래서 타입2 안에서 타입1을 구현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로 구축할 것이다. 아쉽긴 해도 실제 모습은 매우 비슷하다.

환경 구축

 버추얼 박스 설치

https://kyounggu.tistory.com/14


VMware 설치

추후에 링크 추가


VMware vSphere ESXi 설치

VMware vSphere ESXi는 가상 컴퓨터를 배치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VMware가 개발한 엔터프라이즈 계열 Type1 하이퍼바이저입니다.

Tpye1 하이퍼바이저로서 ESXi는 운영체제에 설치하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아니며, 대신 커널과 같은 중요한 운영 체제 구성 요소를 포함, 통합하고 있다.

 

이 ESXi가 있으면 IP통신만 된다면, 다른 컴퓨터의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마치 클라우드 같다)

 

우선 스택은

ESXi (VMware Workstation Pro) - provisioning(시스템 자원 설정)

CPU : 6C(8C-2C(host)) - 중첩된 가상화 (nested virtualization)

RAM : 10GB (16GB-6GB(host))

SSD : 128GB (동적할당)

NET : Bridge (Public), vSwitch(private; 10.11.0.0/24)

IMG : VMware ESXi.iso

으로 구성하겠다.

 

이제 본격적으로 설치를 해보겠다.

File - New Virtual Machine 클릭
Typical 선택
Install disc image file (iso) 선택 - Browse 클릭
VMware_ESXi.iso 선택.
같은 VMware이므로 인식이 잘 된다. Next 클릭

 VMware_ESXi.iso 파일은 6.7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자.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downloads/info/slug/datacenter_cloud_infrastructure/vmware_vsphere/6_7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downloads/info/slug/datacenter_cloud_infrastructure/vmware_vsphere/6_7

Your browser is not supported on VMware Customer Connect. For the best experience, we recommend using one of these browsers.

customerconnect.vmware.com

굳이 건들 것 없이 Next
위와 같이 설정
Customize Hardware 클릭
Proceccsors - Number of Processors: 1,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 6/  그리고 Virtualize Intel VT-x/EPT or AMD-V/RVI는 꼭 체크 돼야한다.(중첩된 가상화)
메모리는 10GB (10240MB)
NET - Bridged

이제 Close를 눌러 설정을 완료해주자.

Finish를 눌러 설치를 마무리하자.
Enter 누르기 (esc는 누르면 안된다)
F11 눌러서 계속
128GB가 맞는지 확인하고, 맞으면 Enter
US Default 상태에서 Enter
소,대문자, 특수문자 하나씩 있는 비밀번호 입력하고 엔터

필자는 'Kosa0220!' 로 설정

F11 을 눌러 설치
Enter를 눌러 Reboot
크롬창에 화면의 아이피를 입력해보자.
현재 인증서가 없어서 암호화가 안되므로 'http' 보안 접속이 안되므로 다음과 같은 경고창이 뜬다. 인증서를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니 고급을 누르고 이동하자.
이름은 root / 비밀번호는 설정한 비밀번호로 하고 접속
굳이 할 이유가 없으므로 체크 해제하고 확인
설정한 값이 맞는지 확인해보자.

다른 PC에서 사용해보기

자신의 아이피를 잘 기억하고 로그아웃을 해보자.

이제부터는, 다른 컴퓨터의 ESXi에 접속하여 다른 PC에서 실습을 할 것이다. 접속할 아이피를 크롬에 치자.

다른 PC에 접속해보자. 단, 접속 5회 실패하면 5분동안 락 걸리니 주의하자.
다른 PC에 접속. 현재 화면이 전체 상태를 볼 수 있는 '대시보드'이다. 하드웨어 정보들을 알 수 있다.
구성과 BIOS같은 시스템 정보도 알 수 있다.
NMS처럼 모니터링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 관리

사용 권한에 들어가보자.
해당 창에서 사용자를 관리 할 수 있다. (현재 root 계정)

가상 시스템 (VM)

이 곳에서 VM을 추가하여 여러 실습을 해볼 것이다.

스토리지

말 그대로 사용할 저장 공간


네트워킹

랜카드와 비슷한 개념

vSwitch0를 눌러보자.
오른쪽 그림의 녹색 신호는 전기적 신호가 정상적으로 응답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VM Network는 앞으로 만들 VM 포트이고

Management Network의 VMkernel 포트는 ESXi의 아이피를 의미한다.


VM 만들기

VM 생성/등록 클릭
새 가상 시스템 생성을 누르고 다음
위와 같이 설정하고 다음
스토리지를 선택하는 창이다. 아직 스토리지는 1개이므로 바로 다음을 누르자.

 

 

https://ploz.tistory.com/entry/VMware-ESXi-thin-thick-provisioning

 

[VMware ESXi] DISK thin, thick provisioning

thin provisioning 가상 디스크가 최초 0 Byte 부터 생성 되어 사용한 만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형태 예를 들어 VM 생성시 100G를 할당하고 10G의 OS를 설치 했다고 했을 시 실제 차지하는 물리 디

ploz.tistory.com

 해당 블로그에서 thin, thick 프로비저닝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thin: 동적할당 - 실습용 - 성능 낮음

thick:: 정적할당(고정크기) - 실무용 - 성능 높음

 

현재 실습 환경은 넉넉한 공간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동적할당인 'thin'을 이용하자

메모리, 하드디스크를 위처럼 설정하자.
그리고 CD/DVD 드라이브1 에서 데이터스토어 ISO 파일을 선택
업로드 클릭
여기서 전에 쓰던 CentOS7.iso 파일을 업로드하자. 이런 식으로 접속한 PC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이다.
업로드 성공. 업로드된 CentOS7을 선택하자
CD/DVD 드라이브1 을 펼쳐보면 정상적으로 선택됨을 알 수 있다. 이제 '다음'을 누르자
제대로 설정했는지 확인하고 '완료'를 누른다.
생성 성공. '전원 켜기'를 눌러 켜보자.
화면이 변했다. 화면을 클릭해보자.

CentOS7 설치

전에 했던 것 처럼 설치하면 된다.

이제 CentOS7을 조작할 수 있다. Install CentOS7 을 Enter 하자.
바로 Continue
DATE를 누르자
한국으로 시간 설정
NETWORK & HOST NAME 클릭
ON 해주고 Done
INSTALLATION DESTINATION 클릭
당장 파티션을 만들진 않을 것이다. Done 클릭
Begin Installation을 눌러 설치를 시작하자
ROOT PASSWORD 클릭
패스워드 입력하고 Done

 설치가 다 됐으면 Reboot을 해주자.

정상적으로 설치 됐다.
yum update -y
아이피도 잘 뜬다. 이제 업데이트를 해주자.

네트워킹 - 가상 스위치 - vSwitch0 클릭
CentOS7이 정상적으로 연결됐다. 이처럼 가상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링크 케이블처럼 링크 해준다.

 다시 CentOS7으로 돌아와서 업데이트가 다 됐는지 확인해보자.

# 정상 작동 확인

touch test.txt
ls
정상적으로 test.txt가 생성됐다.
# selinux 비활성화
vi /etc/sysconfig/selinux

# SELINUX=disabled
selinux 비활성화
# CentOS7 종료
poweroff

스냅샷, 내보내기를 통한 백업

좌측에서 CentOS7을 좌클릭 - 스냅샷 - 스냅샷 생성
이름 적어주고 생성
'편집'을 누르자
CD/DVD 드라이브 1을 삭제하여 내보내기 용량을 줄여주자 (나중에 다시 추가 가능하니 걱정x)
내보내기 클릭
ova하나만 내보내기는 안된다. 위처럼 설정하고 보내자

 ovf: 설정 / vmdk: 실제 데이터 / nvram : vram 관련 파일이다.

 이렇게 만든 백업파일로 또 다른 VM을 쉽게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됐다.

가져오기를 통해 VM을 양산하기

'VM 생성/.등록' 클릭
'OVF 또는 OVA 파일에서 가상 시스템 배포' 선택후 다음
이름을 정하고 전에 받았던 두 파일을 올리고 다음
하나 밖에 없으니 바로 '다음'
아직 포트그룹은 하나밖에 없으므로 바로 '다음'
전에 iso파일을 지웠으므로 위와 같은 경고가 뜨지만, 이미 설치했으므로 무시하고 완료를 누르자.
VM 'web01'이 새로 생겼다 실행해보자.
정상적으로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