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 (Amazon Machine Image)
AMI (Amazon Machine Image)란?
AMI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지정해야 한다.
동일한 구성의 인스턴스가 여러 개 필요할 때는 한 AMI에서 여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구성의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는 다양한 AMI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하면 된다.
AMI를 위한 인스턴스 생성





#!/bin/bash
yum install -y httpd
systemctl enable --now http
echo "<h1>web01</h1>" > /var/www/html/index.html





인스턴스 접속



MobaXterm에서 aws.tar파일을 드래그해서 업로드 한다.
# tar파일 풀기
sudo tar xvf aws.tar -C /var/www/html

이미지 생성
전에 스냅샷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했던 과정을 간편하게 줄인 기능이다.


- 재부팅 안함: 인스턴스가 이미지로 만들어져있다가, 다시 인스턴스로 만들어질 때, 재부팅을 안해도 활성화 되도록 설정





AMI로 인스턴스 생성
'new-ami' 이미지를 이용하여 'new-ami-webserver'인스턴스를 생성해볼 것이다.




고급 세부 정보는 따로 입력할 필요는 없다. (이미 이미지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




시작 Template
시작 템플릿이란?
시작 템플릿을 이용하면 인스턴스 시작을 효율화, 간소화 및 표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인스턴스를 보다 쉽게 원하는 환경으로 생성할 수 있다.
시작 템플릿 생성









시작 템플릿으로 인스턴스 생성






이전에 선택한 내용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이 처럼 시작템플릿을 이용하면 별도의 과정 없이 바로 원하는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하다.
물론, 원하는 경우에 옵션을 변경하여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 > 실무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RDS), Window10 VM (0) | 2023.04.14 |
---|---|
AWS - 네트워크 서비스(VPC, Route53, 네트워크 ACL) (0) | 2023.04.13 |
AWS - 스토리지(EBS, EFS, S3) (0) | 2023.04.12 |
AWS - ELB, 삭제 (0) | 2023.04.11 |
AWS - EC2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