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RDS)를 사용하면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시간 소모적인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비용 효율적이고 크기 조정 가능한 용량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지중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빠른 성능, 고가용성, 보안 및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D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RDS 생성












레코드 생성 후 접속




# 패키지 설치
sudo yum install -y httpd php php-mysql php-gd php-mbstring wget unzip
# mysql 설치
sudo yum install -y mysql
# 워드프레스 압축 파일 다운
wget https://ko.wordpress.org/wordpress-4.8.2-ko_KR.zip
# 경로 변경 후, 해당 경로에 압축 해제
cd /var/www/html
sudo unzip /home/ec2-user/wordpress-4.8.2-ko_KR.zip
# 압축해제된 폴더 안의 파일들 현재 경로로 꺼내기
sudo mv ./wordpress/* .
# 기존 인덱스 파일 이름 변경
sudo mv index.html index.html.bak
# 아파치에 소유권 부여
sudo chown -R apache:apache /var/www/*
# 재기동
sudo systemctl enable --now httpd




# DB 접속
mysql -h [RDS 엔드포인트 주소] -u admin -p






Window 10 VM 만들기
Window 서버 인스턴스 생성










winserver 원격 접속








Route53 - 레코드 생성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 > 실무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 스토리지 서비스 (1) | 2023.04.18 |
---|---|
Azure - VM(CentOS7, Ubuntu, Windows10) 생성, 로드 밸런서 (0) | 2023.04.17 |
AWS - 네트워크 서비스(VPC, Route53, 네트워크 ACL) (0) | 2023.04.13 |
AWS - 이미지 서비스 (AMI), 시작 템플릿 (0) | 2023.04.13 |
AWS - 스토리지(EBS, EFS, S3)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