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실무 심화

Azure - 스토리지 서비스

Azure 스토리지 서비스

Azure Storage 플랫폼은 최신 데이터 저장소 시나리오를 위한 Microsoft의 클라우드 저장소 솔루션이다.

핵심 저장소 서비스는 데이터 개체에 대한 대규모 확장 가능한 개체 저장소, Azure VM(가상 머신)용 디스크 저장소, 클라우드의 파일 시스템 서비스,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징의 메시징 저장소 및 NoSQL 저장소를 제공한다.

  • Azure Blob(= S3): 텍스트 및 이진 데이터에 대한 확장서이 뛰어난 객체 저장소
  • Azure Files(= Samba, Fsx, smb):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배포를 위한 관리 되는 파일 공유
  • Azure 디스크(= EBS): Azure VM에 대한 블록(root, C:\ ) 수준 저장소 볼륨

Azure - 스토리지 서비스

 web01 추가 디스크 생성

'디스크 - 만들기' 클릭

가용성 영역은 web01의 가용성 영역과 똑같이 맞춰줘야한다. 크기가 너무 크므로 '크기 변경' 클릭
테스트 용도이므로 1기가로 크기를 설정
다음 클릭

디폴트 값 그대로 다음

디폴트 값 그대로 다음

디폴트 값 그대로 두고 '검토 + 만들기' 클릭

 공유 디스크: 두 개 이상의 가상 머신이 하나의 디스크에 동시 연결하는 것(= NFS)


만들기 클릭

생성 완료.

디스크를 web01에 마운트 후 파일 업로드 - MobaXterm 사용

'가상 머신 - web01 - 디스크 - 기존 디스크 연결' 클릭

생성한 디스크를 고르고 저장

이제 MobaXterm으로 돌아와 확인을 한다.

1기가 짜리 'sdc'가 추가됨을 알 수 있다.
# sdc ext4형태로 포멧 
sudo mkfs -t ext4 /dev/sdc

# sdc를 mnt에 마운트
sudo mount /dev/sdc /mnt
마운트 완료.

azure.tar
1.34MB

 위의 파일을 MobaXterm에 드래그해서 업로드 한다.

# auzre.tar파일을 마운트한 mnt 폴더로 이동
sudo mv azure.tar /mnt
/mnt 폴더로 이동 완료.

디스크를 web01에 마운트 후 파일 업로드 - Windows10 VM 사용

이런 식의 방법도 가능하다.

'web03'의 'wwwroot'폴더에 파일을 업로드
# web03으로부터 azure.tar 파일 다운
wget http://[web03 아이피]/azure.tar

# azure.tar파일 해제
sudo tar xvf azure.tar -C /var/www/html
web01에서 wget을 이용하여 해당 폴더의 파일 다운로드 가능

# azure.tar 파일 mnt 폴더로 이동
sudo mv azure.tar /mnt

스냅샷을 이용하여 파일 옮기기

생성한 디스크를 web02에 다시 연결하고 싶지만, 가용 영역이 다르므로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web01과 web02가 추가 디스크를 통해 파일 공유가 불가능해 보인다. 하지만, 이전에도 그랬듯이 스냅샷을 이용한다면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그룹, 이름, 원본 디스크를 변경 해주고 나머진 디폴트 값으로 설정.

 암호화, 네트워킹, 고급 모두 디폴트 값 그대로 쓰므로 바로 '검토 + 만들기' 클릭


생성 완료. '디스크 만들기' 클릭

web02에 붙여줄 것이므로 web02의 가용 영역에 맞춰준다.
스냅샷 생성 완료.

'web02 - 디스크' 에서 스냅샷으로 생성한 디스크를 '기존 디스크 연결'을 통해 연결

이제 web03의 VM으로 돌아와서 확인한다.

'sdc'가 보이므로 디스크 연결 성공
안에 내용물이 있으므로 포멧하지 않고 바로 마운트. 'azure.tar'가 잘 보관되어 있다.

디스크 연결 해제

실습에선 스킵했으므로 알아두기만 하자.

# 마운트 해제
sudo umount /mnt
마운트 해제됨.

데이터 디스크 목록 맨 오른쪽의 'X'버튼으로 지우고 저장

스토리지 계정 만들기 


지역은 스토리지를 사용할 지역에 맞춰주자.

디폴트 값 그대로

디폴트 값 그대로

디퐅트 값 그대로

디폴트 값 그대로 (MMK: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키 사용/ CMK: 사용자가 가진 키를 사용)

생성 완료.

 컨테이너(blob) 스토리지 만들기

컨테이너 메뉴에서 '+컨테이너' 클릭
우측에서 '프라이빗'액세스 수준으로 컨테이너 생성

'업로드' 클릭
'폴더에 업로드'를 통해 파일의 상위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넣은 채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미지가 들어있는 폴더 생성 완료.
Images 폴더 안에 사진이 있는 것을 확인.

폴더 없이 파일만 업로드하고 싶으면 '폴더에 업로드'를 공백으로 해놓으면 된다.

업로드 된 사진을 클릭해서 상세 정보를 보면 URL이 있다. 복사해서 인터넷에 입력한다.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사진을 볼 수 없다.

액세스 수준이 프라이빗이면 공유가 안되지만, Blob 이상으로 변경해주면 공유가 가능하다.

컨테이너 : 최상위 폴더 / Blob: 들어있는 오브젝트들

공용 액세스 수준을 Blob으로 변경
사진의 URL로 다시 재접속하면, 사진을 읽을 수 있게 됐다.

index.html 파일의 액세스 수준도 blob으로 변경
index.html의 URL로 접속하면 해당 화면이 나온다.

확인이 끝났다면, 다시 두 파일의 액세스 수준을 '프라이빗'으로 변경한다.


파일 공유 스토리지 만들기 

 NFS, Samba와 비슷하게 특정 파일들을 공유하기 위한 스토리지.

'파일 공유' 클릭
이름을 적고 '만들기'
생성한  파일 공유에 '우클릭 - 연결'

우선, 윈도우 10 VM에 연결을 한다.

'Show Script'를 누르고, 스크립트를 복사를 한다

윈도우10 VM에서 '파워 셀'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새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위에서 복사한 스크립트를 붙여넣는다.
모두 드래그한 상태에서 'Run Selection(F8)을 클릭하여 스크립트 수행
설치가 끝나면 'This PC'에 파일 공유 스토리지 'user01-share'가 생긴다.
해당 폴더에 'MobaXterm' 압축 파일을 업로드

 이번엔 리눅스 환경에 연결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스크립트 복사.
윈도우10 VM에서 web01에 붙여넣기.
'MobaXterm'이 존재한느 것을 보아 파일 공유 스토리지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web02에도 똑같이 연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