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가존 클라우드 2기 교육/실무 심화

Azure - 이미지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

Azure 이미지 서비스

스토리지 계정에 관리 디스크(Block) 또는 비관리 디스크로 저장되는 일반화된 VM(가상 머신)에서 관리 이미지 리소스를 만들 수 있다.

여러 VM을 만드는데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관리형 이미지 하나는 최대 20개의 동시 배포를 지원한다. 동일한 관리형 이미지에서 20개가 넘는 VM을 동시에 만들려고 하면 단일 VHD의 스토리지 성능 제한으로 인해 프로비저닝 시간이 초과될 수 있다. 20개가 넘는 VM을 동시에 만들려면 20개의 동시 VM 배포마다 복제본 1개로 구성된 Shared Image Gallery 이미지를 사용한다.

 

Azure 네트워크 서비스

Azure Virtual Network는 가상 머신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격리되고 매우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개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서브넷, 액세스 제어 정책 등을 정의할 수 있다. Virtual Network를 통해 Azure를 데이터 센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상 네트워크에서 원하는 네트워크 가상 어플라이언스(WAN 최적화 도구, 워크로드 분산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방화벽)를 실행하고 트래픽 흐름을 정의하여 제어 기능이 뛰어난 네트워크를 설계할 수 있다.


이미지 서비스

이미지 생성

'web01' 에서 '캡처' 클릭

관리형 이미지를 택한다. 사진에서는 체크 안했지만, '이미지를 만든 후 이 가상 머신을 자동으로 삭제'를 체크.

가상 머신은 이미지를 생성한 후에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미지를 만든 후 이 가상 머신을 자동으로 삭제'를 통해 삭제를 하는 것이 좋다.


생성 완료.
이미지가 만들어지면, 원본 가상 머신은 중지가 되며, 다시 시작할 수 없다. 주의해야한다.

이미지로 VM 생성 

이미지에 들어가 'VM 만들기' 클릭

가용 영역은 기존 'web01'과 똑같은 영역을 선택, 이미지는 생성했던 이미지가 자동으로 선택 되어있다.
크기와 저장된 키, 인바운드 포트 모두 기존의 web01과 같게 설정해준다.

다룬 부분들은 모두 디폴트 값 그대로 가지고 간다. '검토 + 만들기' 클릭


생성 완료.
실제로, 윈도우 VM에서 해당 VM의 아이피로 접속하면, 이미지를 생성했던 때와 완전히 똑같음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가상 네트워크 만들기

가상 네트워크 메뉴. 만들기 클릭

리소스 그룹과 이름을 정하고 '다음'

IPv4 주소 공간을 정하고 서브넷을 추가한다.

https://jodies.de/ipcalc?host=10.11.0.0&mask1=16&mask2=20&help=%26%2346020%3B%26%2350880%3B%26%2347568%3B+ 

 

IP Calculator / IP Subnetting

IP Calculator ipcalc takes an IP address and netmask and calculates the resulting broadcast, network, Cisco wildcard mask, and host range. By giving a second netmask, you can design subnets and supernets. It is also intended to be a teaching tool and prese

jodies.de

 위의 사이트를 참고하여 서브넷을 추가한다.

위 사진처럼 이름과 주소 범위를 입력하고 추가한다.
총 3개의 서브넷을 추가한다. '검토 + 만들기' 클릭

여기서 서브넷들은 다 독립된 네트워크다. 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이 자동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생성 완료.

서브넷을 생성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가상머신을 새로 생성할 것이다. 프리티어를 쓰는 경우, CPU 할당량이 4개까지이므로 부족하다. 그러므로 web01~03까지 삭제한다.(해당 하지 않으면 생략)

모두 삭제.

이미지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했을 때와 똑같이 web01을 생성한다.

네트워킹 부분에서 서브넷 부분이 달라졌다. 서브넷1을 선택.

이어서 서브넷2에 대해서도 똑같이 가상 머신을 생성한다.

web02에는 서브넷2를 택해준다.
web02 생성.

가상 머신에 공용 IP를 연결한다. '공용 IP 주소 - 연결' 클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web0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골라준다. 연결해준다.
네트워킹에서 확인 가능.
연결 완료.

web02도 똑같이 진행.

web02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 완료

이제 MobaXterm으로 접속하여 아이피를 확인하여 서브네팅이 제대로 됐는지 확인한다.

web01 접속
연결 성공. 아이피 주소를 확인해보면 서브넷1의 범위 안에 있다.

web02 접속
연결 성공. 아이피를 보면 서브넷2의 아이피 주소 안에 있다.

DNS 영역 만들기

DNS 영역에서 '만들기' 클릭

이름은 사용할 도메인 주소로 기입.(가비아에서 생성한 도메인 주소). '검토 + 만들기'

검토 + 만들기
DNS 영역 생성 완료. NS형식의 값(주소) 4개를 복사한다.

가비아의 네임서버 설정에서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는다.(끝의 '.' 지우기)

도메인 주소가 등록이 되는데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


다시 DNS 영역에 돌아와 '+ 레코드 집합'를 클릭

도메인 주소 앞에 붙을 이름과 아이피 주소 입력.

별칭 레코드 집합을 통해 아이피 주소에 붙은 별칭으로 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성을 위해 직접 아이피를 입력했다.

도메인 주소로 web01에 접속 확인.

web02에도 똑같이 적용시켜준다.

도메인 주소로 web02에 접속 확인.